흰점찌르레기(학명: Sturnus vulgaris 스투르누스 불가리스)는 참새목 찌르레기과에 딸린 중간 크기의 연작류이다. 서양에서 그냥 찌르레기(common starling)라고 하면 이 종을 가리킨다. 신장은 약 20cm이다. 기름진 검은 깃털은 금속성 광택이 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흰색 반점이 앉는다. 다리는 분홍색이고, 부리는 동절기에 검은색, 하절기에 노란색이 된다. 어린 개체는 성체에 비해 깃털 색깔이 보다 갈색에 가깝다. 매우 시끄러운 새로, 남과 어울리기 좋아하는 군서 습성을 지닌다. 노랫소리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뛰어난 흉내 능력이 예로부터 유명하여 켈트 신화 산문집 《마비노기온》이나 대 플리니우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에서도 관련된 언급이 있다. 흰점찌르레기는 수십 개의 아종이 있으며, 유럽과 서아시아의 온대 기후를 자생 서식지로 삼는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미국, 멕시코, 페루, 아르헨티나, 포클랜드 제도,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 남아공, 피지 등지에 외래종으로서 전래되었다. 이 새는 남유럽 및 서유럽과 남서 아시아에서는 텃새이고, 그 외의 지역에서는 북동 유럽 등지에서 여름을 나고 이베리아반도와 북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이다.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구멍 안에 어수선한 둥지를 짓는다. 그리고 네다섯 개의 윤기 있는 창백한 파란 알을 낳는다. 알이 부화하는 데는 2주 정도가 걸리며, 새끼는 3주 동안 둥지 안에 머무른다. 1년에 한두 번 번식을 시도한다. 잡식성으로 다양한 무척추동물과 식물의 씨, 열매를 먹는다. 다양한 포유동물 및 맹금류가 이 새를 먹이로 삼으며, 각종 기생충이 그 몸 안팎을 숙주로 삼는다. 흰점찌르레기 떼는 해충 구제에 도움이 되어 농업에 유익하다. 그러나 흰점찌르레기가 열매나 싹을 뜯어먹으면서 오히려 해수가 될 수도 있다. 흰점찌르레기는 도시 지역에서는 수탉처럼 횃소리를 내는데 이것이 매우 시끄럽고 어지러워서 사람을 성가시게 만든다. 외래종으로 침투된 지역들에서는 도태 작업을 비롯한 각종 활동을 통해 개체수를 조절하려 하고 있으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한 다른 지역들에서는 그러한 시도들은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1980년대 이후 북유럽과 서유럽에서는 그 개체수가 감소 추세에 있다. 성장기 병아리의 먹이로 삼아야 하는 초지의 무척추동물이 드물어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인 개체수는 그다지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국제자연보전연맹은 흰점찌르레기를 관심 불필요(least concern) 종으로 분류했다.
카테고리 없음